“무엇을 심어야 잘 자라고 돈도 될까요?”
텃밭 재배로 부수입을 꿈꾸는 분들, 혹은 자급자족을 위한 작물 선택이 고민이시라면 꼭 봐야 할 정보!
이번 글에서는 수익성과 재배 난이도, 수확 주기까지 고려한 텃밭 작물 추천 리스트를 소개합니다.
안녕하세요! 주말농장, 주택 정원, 작은 밭이라도 알차게 쓰고 싶은 분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어요.
특히 요즘은 ‘텃밭으로 자급자족 + 부수입까지’ 노리는 분들도 꽤 많죠.
하지만 아무 작물이나 심었다가는 병충해에 시달리거나, 수확량이 적어서 낭패를 보기 쉬워요.
오늘은 텃밭에서 잘 자라고 수익성도 높은 작물 TOP 5를 추천하고, 작물별 특징과 예상 수익까지 꼼꼼히 정리해드립니다.
✅ 수익과 효율을 모두 잡은 텃밭 작물 추천
🥬 쌈채소 (상추, 치커리, 적겨자 등)
- 장점: 수확 주기 짧음(주 1~2회), 초보자도 재배 쉬움
- 단점: 여름철 곰팡이병 주의, 햇빛 부족 시 웃자람
- 수확시기: 파종 후 약 30~40일 후 첫 수확
- 내병성/난이도: 중 / 쉬움
- 수익 예측: 10평 기준 월 20~30만원 (주 2회 수확)
🍅 방울토마토
- 장점: 인기 많고 가격 안정적, 지속 수확 가능
- 단점: 물 조절·병충해 관리 필요, 지지대 설치 필요
- 수확시기: 파종 후 60일 이후 수확 시작, 약 2~3개월 지속
- 내병성/난이도: 중상 / 중
- 수익 예측: 10평 기준 월 15~25만원 (주 1회 수확)
🌱 부추
- 장점: 강한 생명력, 연 5~6회 수확 가능
- 단점: 초기 뿌리 활착까지 시간이 다소 필요
- 수확시기: 첫 수확은 파종 후 약 2달 후, 이후 연속 수확
- 내병성/난이도: 높음 / 쉬움
- 수익 예측: 10평 기준 월 20만원 내외 (월 2~3회 수확)
🍆 가지
- 장점: 병에 강하고 지속 수확 가능
- 단점: 열과 현상(터짐) 주의, 지지대 필요
- 수확시기: 파종 후 70일, 여름~가을 지속 수확
- 내병성/난이도: 중상 / 중
- 수익 예측: 10평 기준 월 18~22만원 (주 1회 수확)
💰 고수익 작물 (케일, 열무 )
- 장점: 고부가가치 건강식품, 도매가 안정적
- 단점: 병해충 관리 필요, 여름철 재배 어려움
- 수확시기: 파종 후 30~45일 후 수확
- 내병성/난이도: 중 / 중상
- 수익 예측: 10평 기준 월 30~40만원 (주 2회 수확)
📊 작물별 수익 비교 요약표
작물명 | 수확주기 | 재배 난이도 | 월 예상 수익 (10평 기준) |
---|---|---|---|
쌈채소 | 주 2회 | 쉬움 | 20~30만원 |
방울토마토 | 주 1회 | 중 | 15~25만원 |
부추 | 월 2~3회 | 쉬움 | 20만원 |
가지 | 주 1회 | 중 | 18~22만원 |
케일·열무 | 주 2회 | 중상 | 30~40만원 |
⚠️ 텃밭 재배 시 주의할 점
- 작물별 일조량 확인 후 적절한 위치 선정 (그늘지는 텃밭은 불리)
- 급수시설이 가까워야 관리가 쉬움
- 농약 사용은 최소화하고 친환경 방제 활용
- 작물 간 격리거리 확보로 병충해 전염 예방
- 잡초 방지용 멀칭 비닐 활용하면 관리 시간 단축
💬 자주 묻는 질문 (FAQ)
텃밭에서 유기농 재배도 가능한가요?
네, 가능하지만 병충해 방제와 토양 관리에 더 많은 신경이 필요합니다. EM 발효액, 유황제 등 친환경 자재 사용을 추천합니다.
주택 마당에서도 작물이 잘 자라나요?
일조량과 배수만 괜찮다면 충분히 가능합니다. 다만, 흙 깊이가 얕은 곳은 경작층을 보강하는 것이 좋습니다.
텃밭 관리에 하루 얼마나 투자해야 하나요?
작물에 따라 다르지만, 평균적으로 하루 30분~1시간 정도면 충분히 관리 가능합니다. 주말 집중 관리도 가능합니다.
여름철 작물 고르기 팁은?
내열성과 병해에 강한 작물(가지, 고추, 방울토마토 등)을 추천하며, 장마 대비 배수 대책도 필요합니다.
텃밭 농사를 돈벌이로 할 수 있나요?
소규모 수익은 가능하지만, 수익보다도 자급자족과 힐링 목적이 크며, 시장 판매는 허가 조건 확인이 필요합니다.
작물은 어디서 구입하나요?
종묘상, 온라인몰, 농협 하나로마트 등에서 구입 가능하며, 지역 농업기술센터 추천 품종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.
🌾 마무리 한마디
텃밭은 단순한 정원 이상의 가치가 있습니다.
작은 땅이라도 잘 활용하면 건강한 먹거리와 소소한 수익, 그리고 큰 만족감을 얻을 수 있죠.
‘무엇을 심느냐’보다 ‘어떻게 관리하느냐’가 수익을 좌우합니다.
오늘 소개한 작물 중 한두 가지라도 도전해보며 텃밭의 매력을 경험해보세요!
'시골 경제활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귀농 창업에 유리한 정부사업 5가지 (0) | 2025.07.05 |
---|---|
2025년 7월, AI 스마트팜 어디까지 왔나? (0) | 2025.06.29 |
“여름 전기요금 할인 정책, 2025 최신 정보 총정리!” (0) | 2025.06.24 |
2025년 겨울 농업법인 사업계획서 쓰는 법(지원금 대비까지) (0) | 2025.06.24 |
[파산자도 받을 수 있는 정부지원금은?] 2025년 기준 현실 가능한 제도 총정리 (1) | 2025.06.22 |